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Kim HM.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 한국여성학 2008; 24(1): 121-155.

Copyright

(Copyright © 2008)

DOI

unavailable

PMID

unavailable

Abstract

As the number of marriage migrants is rapidly increasing, the government is carrying out various policies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ose women.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problems migrants undergo throughout the migration process prior to their arrival in Korea, are not considered the Korean government's territory and therefore poorly recognized. The root-cause of the hardships marriage migrants experience in Korea lies mostly in the women's migration process from their native country to Korea. The way current marriage brokerage works is not only focused on men's interests and desires, but it is also structured by the market. Women are vulnerable in front of the various violations in human rights that occur during the marriage process. Moreover, the gender inequality rooted in the marriage brokerage process itself, sometimes leads to violence and exploitation of women during marriage. This article analyzes the marriage migration process and migration experiences of Mongolian women who have married Korean men through brokerage, and the human rights violat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Korea is the largest receiver of Mongolian women who migrate through marriage. From 2000 to 2005, the number of marriages between Mongolian women and Korean men recorded 1,648 cases, taking up 80% of the total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For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 has been conducted on Mongolian marriage migrants living in Korea for five months, from August 2007 to December 2007. From October 22nd to 29th, field research has been done in Ulaanbator, the capitol of Mongolia. Mongolian women are highly sensitive of gender equality due to education under a socialist regime, and most women are better educated than their counterparts. But many come to Korea, deceived by the false information provided by marriage brokers. Because women have diverse desires and hopes for their new life in Korea, they also participate in this brokerage system without making serious resistances. The current Korean legislation does not provide the basis for protecting victims of marriage brokers. For the 'safe' marriage migration of women, a law that clearly stipulates the prohibition of human trafficking must be enacted soon.

Keywords: Human trafficking

:: Abstract: 최근 한국으로 오는 결혼이주자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짐에 따라, 한국 정부는 결혼 이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이주자들이 국내에 입국하기 전 이주 과정 중에 경험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서는 한국 관할권 밖의 일로 여겨져 관심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국제이주의 특성상 결혼 이주자들이 한국에서 처하는 어려움 중 많은 부분은 그 근본원인(rootcause)이 출신국으로부터의 이주 과정에서 기인한다. 현재 관행화된 결혼 중개 방식은 비용 전액을 지불하는 남성의 이해와 욕구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을 뿐 아니라 최대 이윤의 추구라는 시장 논리에 의해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들은 결혼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형태의 인권유린에 대해 취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중개 과정 자체에 내재된 이러한 젠더 불평등은 결혼 후 가족 내에서 여성에게 대한 착취와 극단적인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중개업을 통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몽골 여성들의 결혼이주 과정을 분석한다. 중개업에 의해 제공된 허위정보에 의해 여성들이 결혼 과정에서 자유로운 의사결정권을 상당부분 제약받거나 박탈당함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동의'에 이르게 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국은 가장 많은 몽골 여성들이 결혼 이주를 하는 국가이다. 2000년부터 2005년 사이 몽골 여성과 한국 남성과의 국제결혼은 총 1,648건으로 몽골 여성의 전체 국제결혼 건수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년 8월부터 12월까지 약 5개월 간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인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심층면접을 했고, 10월 22일부터 29일까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시에서 현지 조사를 했다. 몽골 여성들은 사회주의 교육의 영향으로 양성평등의식이 강하고, 한국 남편보다 고학력인 경우가 많지만, 중개업자가 제공한 허위 정보를 믿고 한국에 오는 경우가 많다. 여성들이 결혼 이주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런 허위 정보지만, 한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이들은 결혼 중개 시스템에 큰 저항 없이 참여하게 된다. 여성들의 안전한 이주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정부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결혼이민자 '정착'과 '통합'뿐 아니라, 중개업을 통해 여성들이 한국으로 유입되는 과정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Language: ko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