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Lee S. J. Asiatic Stud. (Seoul) 2010; 53(3): 139-168.

Vernacular Title

동북아 주요 국가의 탈북자 정책 - 재외 탈북자문제와 대량탈북 가능성을 중심으로

Copyright

(Copyright © 2010, Koryŏ Taehakkyo Asea Munje Yŏn'guso)

DOI

unavailable

PMID

unavailable

Abstract

An external refugee dilemma is one of the most serious North Korean humanitarian problems together with long-standing food crisis and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Since the mid-1990s, hunger-stricken North Koreans have tried to escape from their country, mostly to China, but political barriers and tight border control have made the process dangerous and often unsuccessful. Even after a successful escape, those in China or countries other than South Korea are currently trapped by political, diplomatic, and legal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UN refugee laws, only those who leave their home countries for political reasons such as wars and persecution are entitled to seek refugee status. Deplorably, North Korean defectors in search of food, money and medicine do not meet this requirement. This legal trap has been a justification to China and other countries that are reluctant to grant the defectors protection and shelters. The Chinese government has labeled all North Korean escapees as illegal immigrants. Unless a dramatic incident such as "planned defection" happens to catch the world media, the defectors are destined to forcibly repatriation to North Korea. Once returned, they are subject to imprisonment, harsh torture, or even death penalty. Those who remained in China also face double sufferings of fugitive life and human rights abuse such as labor exploitation, human trafficking and purchasing marriage. As China has increased their surveillance and search activities, many North Koreans in China have attempted to escape to Southeast Asian countries. North Korean refugee problem needs to be addre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issues, and yet the countries involved tend to deal with the problem in terms of their political, diplomatic priorities and national interests. Although the US, Japan, Russi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as well as successive Korean governments, tend to provid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assistance and have not forcibly repatriate them, more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North Korean refugee policies are required to effectively address the problem.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considering the likelihood of the North Korean contingency and related mass defection of North Korean people. While the contingency, whether it will be caused by the fall down of Kim Jong-il's regime, the transformation of the dictatorial communist system, or the state collaps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an precipitate the mass refugee problem, the North Korean regime's loss of power and control over its citizen lapse can be caused by the large-scale refugee flow in combination with the uprising of the discontented North Korean people. No matter which scenario is more plausible, if the contingency and/or mass defection happen, the consequences will be astounding. Therefore, close policy coordination at the global and regional levels are crucial to prepare for detailed and systematic plans to address the problem.

Keywords: Human trafficking

Vernacular Abstract

외부 피난민 딜레마는 여러해에 걸친 식량 위기와 총 인권 침해로 함께 그 가장 심각한 북한 주민 인도주의적 문제 중 하나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로, 배고픔-stricken 북한 주민은 그들의 국가 중국에 대부분 벗어나려고 했지만 정치적 장벽과 단단한 국경 통제는 과정을 위험하고 종종 성공하지 못하게 했다. 심지어 성공적 탈출 뒤에, 중국에서의 그것들 또는 한국과 다른 국가는 정치적, 외교적이고, 합법적 제약에 의해 현재 갇힌다. 유엔 피난민 법에 따르면, 단지 전쟁과 박해와 같은 정치적 이유를 위한 그들의 고국을 떠난 그것들은 피난민 상태를 찾는 자격이 주어진다. 비통하게, 식품, 화폐와 약을 찾는 탈북자는 이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 합법적 트랩은 배반자 보호와 쉘터를 제공하는 것을 꺼린 중국과 다른 국가에게의 정당화였다. 중국 정부는 불법 이민자로서 모든 북한의 도망자를 라벨을 붙였다. "계획된 변절"과 같은 극적 입사가 지구 매체를 포착하게 되지 않는다면, 배반자는 북한에 강제적으로 송환에 예정된다. 반환된다면, 그들은 금고, 열악한 왜곡 또는 죽음마저 페널티에 따른다. 또한 중국에서 상기시킨 그것들은 la bor 개발, 인간 트래픽킹과 구매 결혼과 같은 일시적 삶과 인권남용의 두배 고통을 직면한다. 중국이 그들의 감시와 검색 활동을 증가시킨 것처럼, 중국의 많은 북한 주민은 동남 아시아의 국가에 새려고 시도했다. 북한 주민 피난민 문제는 인권과 인도주의적 문제의 원근법에서 보내질 필요가 있고 아직 포함된 국가는 그들의 정치적 외교적 우선순위와 국익의 관점에서 문제를 다루는 경향이 있다. 미국, 일본 이지만, 러시아와 다른 동남 아시아의 국가는 계속적 한국 정부뿐만 아니라 보조를 가진 탈북자에게 제공하고 강제적으로 그들을 본국으로 송환하지 않게 하는 경향이 있고, 더 포괄적이고 지속적 북한 주민 피난민 정책은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요구된다. 그것 특히 중요하고 북한의 우연성의 가능성과 북한의 사람들의 관련된 질량 변절을 고려한다. 우연성이, 그것이 민주주의 국민의 대한 민국의 김 종-il의 레짐, 독재적 공산주의자 시스템의 트랜스포메이션 또는 상태 붕괴의 아래 붕괴에 기인할 것일지, 질량 피난민 문제를 침전시킬 수 있는 동안, 힘의 북한의 레짐의 손실과 그것의 시민 경과에 대한 통제는 불만된 북한 주민 사람들의 반란과 결합하여 대규모 피난민 흐름에 기인할 수 있다. 시나리오가 우연성 그리고/또는 질량 변절이 발생하면, 더 그럴 듯한 것이 무엇이든지, 결과는 깜짝 놀랄 만할 것이다. 그러므로, 전체적이고 지역 레벨에서의 가까운 정책 협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세하고 조직적 계획을 준비하는 것이 결정적이다.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