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Lee CK.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한국위기관리논집 2011; 7(1): 23-42.

Copyright

(Copyright © 2011)

DOI

unavailable

PMID

unavailabl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y suggest the standardiz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Life Safety (Sexual Crimes, Traffic Safety, School Violence, Food Safety, Workplace Safety, Juvenile Delinquency and Safety, Banking crimes, Fire and so on) directly affecting our life. Up to now, there have been only a little confirmatory researches that analyzed the Life Safety Standardiz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aspect of administration and economics, standardization steps of the Life Safety. For the making types,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Matrix Organization. Also,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haracterized including the consumer-based performance evaluation, strategic planning structure, big city and local government centered change, opening the evaluation result, performance culture and leadership.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주변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생활안전 분야의 표준화와 통합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하였으며, 생활안전 분야의 표준화와 성과관리체계 구축에 대하여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시론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안전 분야 표준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행정적, 경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표준화 단계를 7단계로 설정하였다. 표준화 유형은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매트릭스 조직 개념을 도입하여 서비스 대상별, 업무과정별 분산된 유형분류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생활안전 분야의 성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평가, 전략기획이 기반이 되고 대도시의 변화와 성격이 반영된 생활안전 성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설정,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변화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자유로운 자체평가체계에 속한 생활안전 분야 성과평가의 중요성 확대, 생활안전 분야와 관련된 성과평가결과의 공개와 공유를 통한 긍정적 변화 유도, 전반적인 성과중심 조직문화 확대와 기관장의 관심을 통하여 조직 전체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생활안전 분야의 성과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