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Chung Y, Kim S. J. Korean Soc. Transp. 2020; 38(6): 536-546.

Copyright

(Copyright © 2020,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DOI

10.7470/jkst.2020.38.6.536

PMID

unavailable

Abstract

To reduce non-recurrent conges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of crash duration and its causal factors. Therefore, there have been various efforts to develop crash duration models since 1980s. Specifically, regression type models based on survival analysis have mainly been applied to this area. However, most of them have applied general survival analysis models, in which durations with the same value of the covariates are assumed to have the same distribu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ash dur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unobserved heterogeneity. To carry out this purpose, we used a 1-year (2018) crash data set collected from the entire Korean freeway system, and estimated a frailty model for crash duration. As a result, 11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these, eight variables exhibited an increasing duration: crashes that occurred in tunnel, crashes that occurred in section without street lighting, crashes with trailer-truck or specially equipped vehicle, crashes involved in completely damage vehicle, vehicle status was in off-road, rollover, or fire after crash. Conversely, crashes in the vicinity of tollgate, crashes including property damage only and crashes reported by freeway service patrol contributed to decreasing crash duration.

비반복적 발생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고 지속시간에 대한 이해와 사고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1980년대 이래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특히, 생존분석 기반 회귀분석을 적용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비관측 이질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형을 구축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비관측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의 영향력을 고려한 고속도로 사고 지속시간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8년 전국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프레일티(frailty) 모형 기반 사고 지속시간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1개의 변수가 사고 지 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고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 트레일러 및 특수차량의 사고, 차량이 완파된 사고, 도로이탈 추락이 발생한 사고, 전도 및 화재가 발생한 사고, 조명이 없는 도로구간에서 발생한 사고로 나타났다. 반면, 톨게이트에서 발생한 사고, 대물피해가 발생한 사고, 고속도로 순찰대의 순찰중 제보된 사고는 사고 지속시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Language: ko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