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Ko E, Cho J, Lee J. J. Korean Soc. Transp. 2021; 39(3): 299-311.

Vernacular Title

긴급차량 우선신호 운영 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Copyright

(Copyright © 202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DOI

10.7470/jkst.2021.39.3.299

PMID

unavailable

Abstract

Recently, there is a trend of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preemption/priority signals for emergency vehicles to secure golden time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fire, rescue, and first aid. A preemption/priority signal strategy to minimize the response time of emergency vehicles is required because response time is directly connected to safety and life, but in Korea, there is a limitation in application due to lack of signal operation strategy and detailed operational criteria. Besides, the transit strategy for returning to the ordinary signal is indefinite, which may adversely affect other traffic flows after passing an emergency vehic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proposes preemption/priority signal operation criteria for securing emergency vehicle golden time and minimizing congestion, suggest the appropriate preemption/priority signal operation standard and return strategy acrroding to traffic volume. Network and signal scenarios were designed and analyzed using VISSIM and VAP,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aturation in the intersection, it was found that the Preemption is advantageous when a v/c ratio above 0.4 to 0.6 and that Priority is advantageous when the v/c ratio exceeds 0.8. In the case of the transit signal,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Dwell if the difference in traffic volume between the main/minor road is 3:1 or more, and the Smooth if it is less than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proposed preemption/priority signal in Korea is expected to affect the efficient response system of emergency vehicles and increase the on-site response capacity.

===


최근 정부는 화재, 구조, 구급 등 긴급상황에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긴급차량의 우선신호 도입과 운영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긴급차량의 출동시간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직결되므로 출동시간을 최소화하는 우선신호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우선신호 운영전략과 세부기준이 미흡하여 적용에 한계가 존재하며, 우선신호 운영 후 일반신호로 복귀되는 전이 전략이 확보되지 않아 긴급차량 통과 후 일반 교통류에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긴급차량 골든타임 확보와 일반차량 통행불편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여 교통량에 따른 적절한 우선신호 운영기준 및 복귀 전략을 제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시적인 교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과 VAP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분석 네트워크와 시나리오를 설계하였다. 우선신호 제어전략 분석 결과, 우선신호기법은 교차로 포화도에 따라 v/c=0.4-06 상태는 Preemption, v/c=0.8인 상태는 Priority 기법이 긴급차량의 이동성과 일반차량 혼잡 완화 측면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일반신호로의 복귀기법은 주 ‧ 부도로의 교통량 차이가 3:1 이상이면 Dwell 기법, 그 외 조건은 Smooth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우선신호 이전 수준의 소통상황으로 회복하는데 우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량에 따라 적절한 우선신호 운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골든타임 확보와 이에 따른 현장 대응능력을 높힐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