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Ahn J, Choi H, Kim J. J. Korean Acad. Nurs. 2023; 53(1): 101-114.

Vernacular Title

1인 가구 성인 남성 문제음주의 지역 간 변이요인에 관한 연구: 지리적 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Copyright

(Copyright © 2023,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DOI

10.4040/jkan.22131

PMID

36898688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gional differences in problem drinking among adult mal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edict the determinan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8,625 adult mal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ho had been consuming alcohol for the past year. The Si-Gun-Gu was selected as the spatial unit.

RESULTS: The top 10 regions for problem drinking among adult mal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located in the Jeju-do and Jeollanam-do areas near the southern coast, whereas the bottom 10 regions were located in the Incheon and northern Gyeonggi-do areas. Smoking, economic activity, and educational level were common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among this population. Among the determinants of regional disparities in problem drinking among adult mal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personal factors included age, smoking, depression level, economic activity, educational level, and leisure activity, while regional factors included population and karaoke venue ratio.

CONCLUSION: Problem drinking among adult mal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varies by region, and the variables affecting each particular area diff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tailored to individuals and region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by prioritizing smoking, economic activity, and educational level as the common factors.

lcohol Drinking; Health Status Disparities; Men; Spatial Regression
음주; 건강 격차; 남성; 공간 회귀분석

===

국내 1인 가구는 2000년 15.5%에서 2015년 27.2%, 2020년 31.2%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50년에는 39.6%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1].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하여 삶의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2], 주거 빈곤을 경험하거나 안전에 취약하고 사회적 고립이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등 신체 및 정신적 건강 수준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 1인 가구에 주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3, 4]. 특히 1인 가구는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할 가능성이 적으며, 혼자서 음주를 하는 경우 그 횟수나 양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4, 5]. 또한, 만 19세 이상의 국내 1인 가구 중 남성(84.9%)의 비율이 여성(15.9%)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현재 음주를 하는 경우가 89.2%로 보고됨에 따라[6] 1인 가구 성인 남성 문제음주(problem drinking)의 심각성을 유추할 수 있다.

문제음주란, 음주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사회적·신체적·심리적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위험 수준의 알코올 섭취 행동을 의미한다[7]. 국내 성인 남성의 경우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소주 7잔 또는 맥주 5캔 이상의 폭음을 하는 비율이 40%에 가까운 수치로 나타나 높은 수준의 문제음주를 보이고 있다[8]. 월간폭음률의 경우 성인 남성(52.6%)이 여성(24.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회 평균 음주량이 소주 7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고위험 음주율의 경우에도 성인 남성은 18.6%로 성인 여성(6.5%)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성인 남성이 문제음주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8]. 특히 1인 가구 중에서도 남성의 문제음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9], 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정서적 지지망이 취약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주를 주로 선택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0]. 남성은 음주로 인하여 손실되는 수명이 2.75년으로 여성에 비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나며[11], 남성의 문제음주는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조기 사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되므로 사회·경제적으로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여[12] 1인 가구 남성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Language: ko

Keywords

Alcohol Drinking; Men; Health Status Disparities; Spatial Regression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