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Ko JA, Kim JY. J. Korean Acad. Nurs. 2023; 53(5): 538-555.

Vernacular Title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경험: 해석 현상학적 분석

Copyright

(Copyright © 2023,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DOI

10.4040/jkan.23075

PMID

37977564

Abstract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us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and photovoice methods to explore the meaning of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d by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adolesc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do and Jeollabuk-do who were sele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Six participants had repeatedly engaged in self-injurious behavior for over a yea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photovoice method between November 2020 and July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x steps of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yielded 5 main themes and 18 subthemes. The main themes were 'a silent cry to an indifferent world', 'a heartache that one endures with scars', 'an inescapable cycle', 'filling the space in one's heart', and 'healing the wounds'. Th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the self-injurious behavior of adolescents began as a consequence of feeling lost and struggling with conflicts at home and school, which helped them relieve tension and pain. Nonetheless, inflicting self-injury only left signs of regret and remorse, which became a trace that the participants wanted to hide. However, the wounds healed after receiving attention and support from others. They were determined to stop engaging in repeated self-injurious behaviors and made efforts to do so.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non-suicidal self-injury in adolescents. Additionally, it can inform nursing interventions that focus on building support systems to help adolescents who attempt self-injury.

===

최근 청소년의 자해 행동 비율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자해 행동은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심리·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2020년도 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중의 하나인 인스타그램에 '자해'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게시물이 5만 3,000여 건에 이르며[2], 자해 사진이나 동영상 정보 건수도 8,902건으로 이는 온라인 자살 유해 정보 중 52.5%를 차지하는 비율로[3], SNS가 가진 전파력을 통해 청소년의 자해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18년에 시행된 학생 정서·행동 특성 검사 보고에서 우리나라 전체 중학생의 7.9%, 고등학생의 6.4%가 자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4], 2020년 자해 청소년 대상의 상담 지원 건수는 8만 7,458건으로 2015년도의 2만 2,932건에 비해 3.8배가 증가하였다[5]. 2023년 수행된 Farkas 등[6]의 메타분석에 따르면, 일반 인구에서 11세~18세 청소년의 자해 유병률은 17.9%였고, 이중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는 18.3%, 자살 의도가 있는 자해는 11.3%로 보고되었다. 자해 행동은 모든 연령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4세에서 24세 사이의 청소년들에게 유병률이 높고,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1.5배~2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상의 국내외 통계자료는 주요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섭식장애 및 경계성 성격장애 등 정신질환과 관련된 증상의 하나였던 자해 행동이[7], 최근에는 정신의학적 문제와는 별개로 일반 청소년에게까지 확산하여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4]. 자해 행동을 하는 청소년은 주변의 시선을 의식해서 은밀하게 혼자 자해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고, 자해 상처도 쉽게 가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일반 청소년의 자해 행동은 보고된 통계수치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1, 8]. 이에 청소년의 자해 행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예방 및 중재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자해 행동에 관한 문헌과 선행연구는 자살 의도를 기준으로 비자살적 자해(non-suicidal self-injury)와 자살적 자해로 나누어 그 개념과 행동 특성을 구분하고[9], 자해 행동 유형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10]. 청소년 자해의 특성으로 알려진 비자살적 자해는 죽을 의도 없이 자신의 신체조직을 직접적이고 반복적으로 훼손하는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즉 비자살적 자해는 삶을 포기하고 죽으려는 의도로 시행하는 자살적 자해와는 동기, 행동, 인지적 특성이 다른 양상과 기능을 갖는 자해 행동이다[9]. 비자살적 자해는 방임, 학대와 같은 아동기 외상 경험이나 무관심하고 비판적인 양육 태도 등과 같은 부모 요인, 집단 따돌림과 같은 대인관계 문제,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또한 청소년의 감정조절 능력이나 감정 표현 능력의 부족이 비자살적 자해의 높은 위험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1]. 최근에는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비자살적 자해를 하는 친구나 주변 사람의 자해 사진이나 영상에 쉽게 노출되는 사회적 전염(social contagion)의 영향도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2]. 비자살적 자해의 가장 일반적인 심리적 기능은 긴장감, 공허감, 무감각, 분노 등과 같이 부정적이고 불쾌한 감정을 신체에 상처를 냄으로써 즉각적으로 해소하는 감정조절의 기능이다[1, 11, 12]. 이외에도 자해 행동으로 부모나 주변 사람들의 관심이나 지지를 얻고자 하거나 사회적 책임이나 의무를 회피하기도 한다. 이처럼 부정적인 정서의 완화나 원치 않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회피 경험을 한 청소년은 이후에도 자해 행동을 반복하게 되면서 서서히 부적응적인 대처 행동으로 습관화가 된다[9].


Language: ko

Keywords

Adolescent; Self-Injurious Behavior; Photograph; Qualitative Research; Voice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