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LIT WEEKLY UPDATE

We compile citations and summaries of about 400 new articles every week.
RSS Feed

HELP: Tutorials | FAQ
CONTACT US: Contact info

Search Results

Journal Article

Citation

Choi ST, Lee HS, Choo SH, Kim SJ. J. Korean Soc. Transp. 2015; 33(1): 50-60.

Vernacular Title

Social path를 반영한 보행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Copyright

(Copyright © 201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DOI

10.7470/jkst.2015.33.1.50

PMID

unavailable

Abstract

Pedestrians not only walk along roads, but also pass through buildings or across open spaces. This study defines these unusual walk routes as social path. Social path is an informal pedestrian route that is not considered in a pedestrian network, even though it should be regarded as pedestrian route considering the fact that many people actually use this path. In response, current study related to travel behavior cannot evaluate properly due to lack of consideration for realistic travel behavior such as social path. In order to deal with this situ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ocial path at two complex centers in Seoul. Evaluation indices are service area analysis and urban network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spatial network analysis. In particular, we subdivide the network into three steps by the level of network building and analyze each step.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step three which includes social path shows the greatest improvement in pedestrian accessibility. In this regard, we confirm that social path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pedestrian accessibility in further studies. Furthermore, a lot of undervalued facilities will be re-appraised in the field of travel behavior.

Keywords
pedestrian accessibility; pedestrian network; service area analysis; social path; urban network analysis ; 보행자 접근성; 보행자 네트워크; 서비스 권역 분석


Language: en

Vernacular Abstract

보행자는 일반적인 보행로를 따라 이동할 뿐만이 아니라 건물을 통과하거나 넓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보행 경로를 social path로 정의하여 보행 네트워크 중 하나로 정의하였다. Social path는 일반적인 보행 네트워크상에서는 구현되지 않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 통행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기존의 보행 접근성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통행 패턴을 구현하지 못함으로 인해 보행로 및 시설의 보행 접근성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의 코엑스와 고속터미널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social path의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서비스 권역 분석과 UNA기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네트워크의 구현 정도를 3step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ocial path가 추가된 step3에서 보행 접근성 개선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연구에서 보행 접근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social path를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social path로 인해 현재 보행 접근성 평가 측면에서 저평가를 받는 다양한 시설물들이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NEW SEARCH


All SafetyLit records are available for automatic download to Zotero & Mendeley
Print